- Published on
알고리즘 - 시간 복잡도
- Authors
- Name
- Kevin Junho Kim
정의
시간 복잡도(Time Complexity)는 알고리즘이 입력 크기에 따라 실행 시간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나타낸다. 이는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 중 하나다.
빅오 표기법
빅오 표기법(Big O Notation)은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를 나타내는 수학적 표기법이다. 주로 다음과 같은 시간 복잡도를 사용한다:
O(1): 상수 시간 - 입력 크기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시간이 걸린다.
O(log n): 로그 시간 - 입력 크기가 커짐에 따라 실행 시간이 천천히 증가한다.
O(n): 선형 시간 - 입력 크기에 비례하여 실행 시간이 증가한다.
O(n log n): 로그 선형 시간 - 입력 크기와 로그에 비례하여 실행 시간이 증가한다.
O(n^2): 이차 시간 - 입력 크기의 제곱에 비례하여 실행 시간이 증가한다.
효율 좋은 순서
O(1) > O(log n) > O(n) > O(n log n) > O(n^2) 비효율적 > O(2^n) = O(n!): 매우 비효율적
시간 복잡도 분석 방법
시간 복잡도를 분석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른다:
1. 각 코드 블록의 시간 복잡도를 개별적으로 계산한다.
2. 반복문과 재귀 호출의 시간 복잡도를 분석한다.
3. 중첩 반복문의 경우 각 반복문의 시간 복잡도를 곱한다.
4. 조건문은 실행되는 부분만 고려한다.
5. 함수 호출의 경우 해당 함수의 시간 복잡도를 고려한다.
간단한 코드예제
- 반복문
function sumArray(arr) {
let sum = 0
for (let i = 0; i < arr.length; i++) {
sum += arr[i]
}
return sum
}
// 시간 복잡도: O(n)
// 설명: 배열의 길이에 비례하여 한 번의 반복문을 실행한다.
// 각 반복에서 상수 시간 작업을 수행하므로, 전체 시간 복잡도는 O(n)이다.
- 중첩 반복문
function printPairs(arr) {
for (let i = 0; i < arr.length; i++) {
for (let j = 0; j < arr.length; j++) {
console.log(arr[i], arr[j])
}
}
}
// 시간 복잡도: O(n^2)
// 설명: 두 개의 중첩된 반복문이 있으며, 각 반복문은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된다.
// 따라서 전체 시간 복잡도는 O(n) * O(n) = O(n^2)이다.
- 조건문
function findMax(arr) {
let max = arr[0]
for (let i = 1; i < arr.length; i++) {
if (arr[i] > max) {
max = arr[i]
}
}
return max
}
// 시간 복잡도: O(n)
// 설명: 배열의 길이 n에 비례하여 한 번의 반복문을 실행하며,
// 각 반복에서 상수 시간 작업(비교 및 할당)을 수행한다.
// 따라서 전체 시간 복잡도는 O(n)이다.
- 함수
function multiplyArray(arr) {
function multiply(a, b) {
return a * b
}
let result = 1
for (let i = 0; i < arr.length; i++) {
result = multiply(result, arr[i])
}
return result
}
// multiply 함수: O(1)
// multiplyArray 함수: O(n)
// 설명: multiply 함수는 상수 시간 O(1)을 가지며,
// multiplyArray 함수는 배열의 길이 n에 비례하여 반복문을 실행한다.
// 각 반복에서 상수 시간 작업(함수 호출 및 곱셈)을 수행하므로, 전체 시간 복잡도는 O(n)이다.
- 재귀
function factorial(n) {
if (n === 0) {
return 1
} else {
return n * factorial(n - 1)
}
}
// 시간 복잡도: O(n)
// 설명: 재귀 함수는 입력 크기 n에 비례하여 한 번씩 호출된다.
// 각 호출에서 상수 시간 작업(곱셈)을 수행하므로, 전체 시간 복잡도는 O(n)이다.
- O(log n)가 나오는 경우 예제를
function binarySearch(arr, target) {
let left = 0
let right = arr.length - 1
while (left <= right) {
let mid = Math.floor((left + right) / 2)
if (arr[mid] === target) {
return mid // O(1)
} else if (arr[mid] < target) {
left = mid + 1
} else {
right = mid - 1
}
}
return -1 // O(1)
}
// 시간 복잡도: O(log n)
// 이진탐색을 가져온건데,
// let mid = Math.floor((left + right) / 2) - 전체 배열의 가운데에 있는 애 인덱스를 가져온다.
// 그 다음 가운데 있는애가 타겟이면 걔를 정답으로 주고, 타겟보다 작거나 크면 mid에 1을 더하고 빼서 다시 검색한다.
// 찾을때 까지 반복한다.
// 첫 번째 절반 줄이기: n -> n/2
// 두 번째 절반 줄이기: n/2 -> n/4
// 세 번째 절반 줄이기: n/4 -> n/8
// 이런식으로 계속 절반씩 줄여가면서 진행이 될텐데, 이걸 k번 동안 반복한다고 가정하면,
// 처음 줄인거는 n/2 두번째는 n/4 니까, k번째는 n/2^k 이다.
// 검색범위가 1이 되는 시점이 탐색이 종료되는 시점이니까, n/2^k = 1이 된다.
// 분모를 제거하면, n = 2^k가 되고, 결국 몇번 반복하는지가 시간복잡도와 관련이 있으니까
// k의 값을 구하자면
// k = log2^n이 된다.
// 이렇게 이진탐색은 O(log n)이 된다.
정리
시간 복잡도는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다. 빅오 표기법을 사용하여 알고리즘의 실행 시간을 나타내며, 효율성을 비교할 수 있다. 시간 복잡도를 분석하는 방법을 이해하고, 코드 예제를 통해 실습해보면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.